반응형

    K뉴딜 관련주 바이오기업 분석 및 대장주, 수혜주 알아보기

    우리나라의 바이오사업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의료수준은 이미 세계 1등이라고 해도 뒤지지 않을 정도의 기술과 장비를 가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정부의 정책인 K 뉴딜 관련 주 바이오 종목의 성장 가능성과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삼성바이오로직스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아키젠바이오텍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MO에서 CDMO 변화를 계획하고 있으며, 고정 개발에서 스케일업, 상업 생산까지 모두 제공한다는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사업을 하는 기업입니다.

     

    CMO는 반도체의 파운드리와 같이 바이오 의약품을 대량 생산을 해주는 기업을 말합니다. 세계 1위의 생산설비 기준을 갖춘 기업입니다.

     

    2. 셀트리온

     

    개발 일정과 수요 등을 고려해서 3공장 신설 예정에 있습니다.

     

    램시마와 트룩시마가 시장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확대와 특허건 만료가 끝나는 제품의 제조로 인한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 세포 대량배양 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를 개발 생산하는 기업으로 아시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동물 세포배양 단백질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램시마는 2016년 미국 FDA로 승인을 받았습니다.

     

    3. SK바이오팜

    기술수출을 하여 미국에서 신약 출시된 솔리암페톨과 FDA가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한 카리스바메이트 등 CNS 파이프라인과 다수의 신약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 엑스코프리의 판매량 증가와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한 AI 약물 재창출 기술의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신약개발 사업을 하고 있으며, 글로벌 신약 시장을 타깃으로 중추신경계 분야, 특히 뇌전증 분야의 혁신 신약 개발에 집중하는 기업입니다.

     

    세노바메이트를 해외 글로벌 시장에 직접 판매, 2016년부터 미국 시장에 직접 판매 사업화 진행 중에 있습니다.

     

    4. 셀트리온헬스케어

    글로벌 제약회사인 화이자, Teva 등을 포함하여 110여 개 국가에 30개 파트너와 판매 및 유통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항체의 글로벌 판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백신의 임상 3상의 결과는 4분기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며, 임상 성공 시 초기 공급이 가능합니다.

     

    주요 계열사인 셀트리온과 공동 개발 중인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바이오 신약)들을 글로벌 마케팅 및 판매를 독점적으로 담당하는 기업입니다.

     

    5. 유한양행

     

    프로세사 파마슈티컬과 위장 관련 질환 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을 했으며, 캐시카우 사업인 전문의약품의 매출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한양행이 진행 중인 파이프라인의 가치와 공격적인 R&D 투자를 하고 있으며, 해외 파트너사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1926년에 설립된 유한양행은 의약품, 화학약품, 공업약품, 수의 약품, 생활용품 등의 제조 및 매매를 주요 사업인 기업입니다.

     

    약품 사업 부문의 B형 항체치료제 비리어드 외에 트라젠타, 트윈스타, 아토르바, 프리베나, 삐콤씨 액티브 등이 있습니다.

     

    유전자 분석 상품, 유전자 진단 관련 시약과 기기 개발을 주 사업 목적으로 설립한 기업입니다.

     

    타깃 하는 유전자만 증폭 시켜 질병의 다양한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멀티플렉스 유전자 증폭 시약 및 분석 소프트웨어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Seeplex, Anyplexll, Allplex 등이 주요 제품입니다.

     

    6. 알테오젠

     

    원천기술로 ADC 기술(NexMadTM), 바이오의약품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NexPTM 융합 기술, 정맥주사를 피하주사 제형으로 변경시키는 hybrozyme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Pab001의 경우 MUC – 1을 타깃 항체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뇌 질환 치료제 exenatide의 임상 2상이 2021년에 종료가 됩니다.

     

    2014년 기술 특례로 코스닥 상장한 바이오기업으로 항체 약물 융합(ADC) 기술 등을 활용한 기존 바이오의약품을 개선하는 바이오베터 사업과 이머징 마켓을 타깃으로 아일리아, 허셉틴 등 바이오시밀러 개발 사업을 하는 기업입니다.

     

    7. 셀트리온제약

    바이오시밀러 국내 독점 판매권과 유통권을 확보하고, 케미컬 의약품과의 시너지 확대를 통한 강한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으며,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3사의 합병 테마도 가지고 있습니다.

     

    KGMP, cGMP, EU – GMP 적격업체로 40여 전문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주력 제품은 고덱스는 기존 간 질환 치료제인 헤파디프와 DDB제의 배합 비율을 찾아 임상 2상, 3상 실시로 개발을 한 제품입니다.

     

    8. 한미약품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을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 NASH 치료제 HM1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전문 업체 스탠다임과 공동연구 계약해 혁신 신약후보 물질 발굴하고, 롤론티스의 하반기 미국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하는 기업으로 고혈압치료제 아모디판, 복합 고혈압 치료제 아모잘탄 등을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하는 한미정밀화학, 북경 한미약품 유한공사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9. 한미사이언스

    한미사이언스는 정보통신 기술은 ITC와 빅데이터를 접목해 연간 60억 정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으며, 전자 유통망 관리 시스템과 무인 처방 시스템 등 차세대 혁신 의료 인프라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바이오 등 헬스케어 분야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여 이를 비즈니스 모델에 접목하는 사회 지주회사로서, 생물학적 의약품 등 제조, 수출 및 판매업을 하는 기업입니다.

     

    10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미약품, 제이브이엠, 온라인팜, 일본한미약품, 한미유한공사 등이 있습니다.

     

    디지털뉴딜 정책 관련주 및 수혜주 기업들을 알아보자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