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스플레이 관련주 TOP 4 기업은 어디일까?

    디스플레이라는 것은 TV 수상기와 비슷한 브라운관에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 기구 또는 컴퓨터에 직접 연결 후 출력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장치 등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주는 어떤 기업들이 있을까요?

     

    디스플레이는 우리가 보통 이용하고 있는 TV 화면이나 액정 등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나라 디스플레이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있으며 LG는 OLED가 주력이고, 삼성은 QLED에서 QD – OLED를 주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 이녹스첨단소재

    인캡용 배리어 필름과 기판용 필름을 제조하는 업체로 회로소재, 반도체 소재, OLED 소재를 제조하고, LG 디스플레이에 LG 화학이랑 50%씩 공급을 하고 삼성 디스플레이에는 기판용 필름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판소재인 FPCB가 54%,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가 36%의 매출 비중이 있습니다.

     

    2. 덕산네오룩스

     

    삼성에 매출 비중이 80%가 넘는 기업으로 S 시리즈, 아이폰 신제품 HTL, RED PRIME, GREEN PRIME 등을 납품하고 있는 회사로 특허 등록된 것이 400여 개 되는 기업입니다.

     

    2020년 3분기부터는 중국의 BOE와 OLED 원재료 수급을 하고, QD – OLED 선정기업으로 올해 생산에 착수한다고 하지만, 아직 공장 가동 전인 상태입니다.

     

    2021년에는 QD -OLED 생산이 가동될 예정으로 매출이 증가될 예상입니다.

     

    3. 덕산테코피아

     

    종합소재 기업으로 반도체 전 공정 소재, OLED 중간재, 소재 등 여러 가지 생산을 하는 기업입니다.

     

    매출의 비중은 OLED 소재가 58%, 반도체의 소재가 38%, 기타 소재가 4%의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입니다.

     

    반도체에는 증착 소재가 들어가는데 그 증착 소재인 HCDS를 국내 유일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국내 삼성전자 내의 HCDS의 55%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OLED 소제는 ETL, HTL 을 제조하고 있으며 발광 층 위에 들어가는 소재입니다.

     

    4. HB테크놀러즈

    OLED, LCD 전 공정 검사 장비 업체로 검사 장비 비중 37%, 부품 소재 63%의 비중이 있는 기업으로 디스플레이 BLU, 도광판, 확산판 등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주 거래처는 삼성 디스플레이, 중국의 BOE, CSOT, 대만의 INNOLUX 등과 거래를 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HB테크놀러지는 장비 주보다는 소재주로 보는 이유는 소재의 비중이 더 큰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2018년 보다 2019년의 매출이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상태를 보고 판단하시는 게 좋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LG 디스플레이는 도광판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