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뉴딜 펀드 2차전지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 핵심분석 안내

    정부에서 K 뉴딜 발표를 하였으며, 미래의 에너지와 환경을 위한 기업의 투자를 하겠다는 발표입니다.

     

    기업의 투자를 위해서 K 뉴딜 펀드 출시를 예고하였으며, 2차 전지, 바이오제약, 인터넷 서비스, 게임사업 등의 투자를 하겠다는 발표였습니다.

     

    1.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물적 분할로 세계 1위의 2차 전지 회사를 분사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분의 100%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호재이지만, 주가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중장기로 투자하기에는 좋지만, 단기 투자를 하시기에는 좋지 않다는 애널리스트들의 평가가 있습니다.

     

    LG화학은 기아자동차의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전 벤츠 EQC 모델의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했고, GM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은 전 세계 1위의 2차 전지 기업이지만, LG에너지솔루션 물적 분할로 인해서 최근 주가가 하향하였습니다.

     

    물적 분할은 LG화학이 100% 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가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인데, 아마도 지분투자를 받기 위한 물적 분할을 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석유화학, 첨단소재, 생명과학, 2차 전지, 유리 기판 및 접착제 등 여러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폭스바겐 다임러그룹에 전기차용 배터리 핵심 부품인 배터리 팩 하우징을 하반기부터 납품합니다.

     

    SK이노베이션은 3공장을 헝가리에 건설 예정이며, 구반반 양극재를 적용한 배터리를 세계 최초 개발을 했습니다.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를 하는 기업으로 2차 전지 시장에는 LG, 삼성SDI에 뒤이어 뛰어들었습니다.

     

    2018년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 사업을 넥스플러스에 매각했습니다.

     

    2. 포스코케미칼

     

    2차 전지 시장이 확대될수록 양극재와 음극재의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로 인 한 매출의 상승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LG화학의 증설 투자로 인한 양극재와 음극재의 매출이 상승하게 되며, 삼성에서 8조 원 투자로 인한 수혜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내화물 시공 및 보수, 각종 공업으로 설계, 제작 및 판매하고, 석화 제품 등의 제조 판매를 하는 기업입니다.

     

    염기성 내화물의 제조와 판매 등의 사업을 주목적으로 설립된 삼화 화성을 흡수합병했습니다.

     

    국내 내화물 시장에서 약 2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기업으로 2차 전지의 음극재와 양극재 모두 납품을 하는 기업입니다.

     

    3. SKC

     

    SKC의 전지 박은 내수 시장보다 수출 매출이 크며, 국가적 측면에서도 전기차 사업의 추진과 보편화에 따라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입니다.

     

    2차 전지의 핵심 소재라고 할 수 있는 동박의 수요 증가로 인한 매출 증가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소재 전문 기업으로 모빌리티, 반도체, 친환경 분야 고부가가치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2차 전지 음극집 전체에 사용되는 동박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반도체 소재사업 등을 하는 기업입니다.

     

    우리나라 유일 NCA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NCA 부분 세계 2위인 기업입니다.

     

    국내보다는 해외 수출 비중이 높으며, SK이노베이션과 삼성SDI의 고정 거래처를 가지고 있으며, 해외 수출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 기업입니다.

     

     

    에코프로의 2차 전지 소개 사업 부문이 물적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하이 니켈계 양극활물질 중심으로 사업을 하고 있으며, 꾸준한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기업입니다.

     

    테슬라사의 EV 용 배터리 소재로 납품하고 있는 스미토모에 뒤이어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한 기업입니다.

     

    4. 일진머티리얼즈

    국내에서 일렉포일의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차 전지 시장의 확대에 따라서 매출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의 공장 증설 투자로 인한 추가 생산량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스마트폰, 텔레비전, 등 모든 IT 전자제품과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음극집 전체에 사용되는 일렉포일의 제조 및 판매를 하는 기업입니다.

     

    일렉포일 매출이 전체의 90.99%를 차지하고 인진건설, 일진유니스코, 오리진 앤코 등 6개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 거래처는 삼성SDI, 중국 BYD, 일본 Murata 등이 있습니다.

     

    5. 두산솔루스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스너스로 매각이 확정되었으며, 3000억 원대 유상증자를 통한 설비투자에 나설 계획이며, 사모펀드의 힘으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5G와 OLED 부품 생산과 하이앤드 동박을 제조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 동박 업체 중 유럽 제조 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1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OLED, 전지박, 동박, 화장품, 제약 소재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2014년 전지박 원천기술을 보유한 룩셈부르크 동박 업체 서킷 포일을 인수, 2019년 헝가리 공장을 신설하며, 전지박 사업의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6. 후성

    냉매 가스를 통한 기본 매출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전기차 시장의 확대로 인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입니다.

     

    후성은 전해액 첨가제 공장을 중국에 증설했으며, 반도체 특수 가스 공장 역시 중국에 증설을 통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전체 영업이익이 반도체 가스 60% 차지함)

     

    불소를 기반으로 한 기초 화합물을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기업이며, 국내 및 해외 법인을 가지고 있는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은 냉매 가스, 2차 전지 소재, 반도체용 특수가스 전문 기업입니다.

     

    2차 전지에는 전해액 첨가제를 만들며, 3,800톤의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7. 천보

     

    2차 전지 소재와 액상 표시장치, 식각액 첨가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반도체 소재의 매출 상승으로 인한 기업의 가치 상승이 예상됩니다.

     

    삼성전자, LG전자, 파나소닉이 주요 거래처이며, 한국 센트럴 글라스와 계약을 체결한 기업입니다.

     

    LCD 식각액 첨가제 시장의 전 세계 95%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2차 전지 매출 비중은 전자 소재 40%를 뛰어넘었고, 매출 증대를 위한 시설 투자를 통한 기업의 발전이 예상되는 기업입니다.

     

    화학 물질 및 제품 제조업체로 디스플레이 소재, 반도체 공정 소재, 2차 전지 소개, 의약품 중간체 및 정밀화학의 사업하는 기업입니다.

     

    천보는 후성과 마찬가지로 2차 전지의 전해질 첨가제를 만드는 기업으로 전해질 첨가제는 배터리의 수명과 출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디지털뉴딜 정책 관련주 및 수혜주 기업들을 알아보자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